안녕하세요! 건알입니다:)
오늘의 건강상식은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귀 질환,
이석증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 중
겨울에 특히 주의가 필요한
전정신경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겨울에 주로 발생하는 이유로는
전정신경염의 발병 원인이
감기 등의 바이러스 감염 질환과
관련이 있어서라고 하는데요-
30-50대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질환인 전정신경염!
지금부터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전정신경염이란 ?
먼저 전정신경 자체가
생소하신 분들도 계실 텐데요,
전정신경은 귀 가장 안쪽에 있는
전정기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바로 이 전정신경에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귀 염증이 발생했을 때,
어지럼증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전정신경염이라 한다고 해요-
전정신경염, 왜 나타날까?
앞서 설명했듯이
전정신경염의 발병 원인이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이 있다고 했는데요-
사실 명확하게 밝혀진 원인은 없지만
감기가 걸린 후에 발병되는 경우가 많아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합니다.
바이러스 감염 외에도 귓속 기관 중 내이에서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전정신경염이 종종 발생한다고 해요-
주의해야 할 바이러스 감염 질환
✔ 감기 또는 독감
✔ 수두
✔ 홍역
✔ 풍진
✔ 이하선염(볼거리)
✔ 대상포진
대표적인 증상들 !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어지럼증으로
어떤 특정 자세를 취했을 때만
어지러운 것이 아니라 가만히 있어도
계속해서 세상이 도는 듯한 느낌으로
이를 회전성 어지럼증이라 한다고 해요!
가볍게 흔들리는 정도부터
생활이 매우 불편할 정도까지
어지러움의 정도는 다양하며
대부분의 증상은 밤에 시작이 되기 때문에
심한 경우 응급실을 찾게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어지러운 증상과 함께 동반되는 증상은
메스꺼움을 느끼실 수 있으며
종종 구토 증세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해요-
또한 앞을 보거나 어딘가에 집중하기 어려우며
설사 또는 온몸에 힘이 빠지는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랄게요 :)
주요 증상은 어지럼증과 메스꺼움으로
이 같은 증상들은 일반적으로
몇 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발생되며
발생 후 24-48시간 내에
가장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증상이 나타날 때 머리를 움직이면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으며
원인이 바이러스 감염인 경우에는
전정 신경이 손상될 수도 있다고 해요-
그럴 경우 만성으로 진행될 수 있고
급성인 경우에도 모든 증상이
완전히 사라지기까지 몇 달 정도
걸릴 수 있다고 합니다.
이석증 / 메니에르병
/ 전정신경염 차이점
전정신경염 외에 귀 염증 질환으로는
이석증과 메리에르병이 있는데요,
자칫하면 전정신경염과 혼동이 될 수 있어
서로 증상이 다른 부분을 찾아보았어요!
먼저 이석증 같은 경우는 전정신경염과 다르게
특정한 자세를 취했을 때만 어지럼증이 나타나며
지속되는 시간 또한 짧은 편이라고 해요!
또한 전정신경염의 경우는
가만히 있어도 어지러운 증상이
일주일 정도는 반복/지속되다가 사라지는데
이석증의 경우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자세를 취하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자연스럽게 증상이
사라지기도 한다고 합니다.
또 다른 귀 염증 질환인 메니에르병은
현기증과 함께 청력이 잠깐 떨어지거나
이명이 들리는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요-
의심해봐야 할 질환들 !
전정신경염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
뇌 질환이 있다고 하는데요,
바로 뇌졸중이라고 해요-
혈관에 이상이 있거나
뇌신경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도
전정신경염의 증상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검진받아보시길 권장드립니다!
꼭! 검사를 해야 하는 경우
✔ 어지럼증과 함께 심한 두통이나
불균형이 나타나는 경우
✔ 이틀이 지나도 증상의 나아짐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경우
✔ 말이 어눌해지면서 안면 감각의
이상을 느낄 경우
✔ 이전에 뇌혈관 질환을 앓았거나,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
치료 방법과 예방 팁!
앞서 설명했듯이
전정신경염의 증상은
초기 48시간이 지나면
증상이 서서히 호전되는데요,
그러나 생활이 불편할 정도의
심한 어지럼증이 느껴진다면
항 히스타민제, 벤조디아제핀,
구토 방지제 등의
어지럼증과 메스꺼움을
완화시켜주는 약물의 복용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대부분 매우 증상이 심한 시기를 맞춰
약 3일 정도 복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 후로는 내성 방지를 위해
전정기능을 회복하는 재활치료를
추천한다고 해요!
어지럼증을 호전하는 데
볼링이나 골프, 배드민턴 등의
운동이 도움을 준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오늘의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암 초기 증상, 혓바닥 따가움.통증 등 신호에 유의하자 (0) | 2021.11.12 |
---|---|
브레인 포그 현상, 치매 전조 증상..? 그냥 방치하지 마세요! (0) | 2021.11.11 |
혈소판 감소증 증상 및 정상수치 ! (아옳이 멍 의심 질환) (0) | 2021.11.08 |
희귀 난치성 질환 모야모야병 , 뇌졸중으로 가는 지름길. (0) | 2021.11.05 |
손가락 발가락 다리에 부종, 통증, 열감 증상.. 봉와직염(연조직염) 주의! (0) | 202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