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알입니다😊
오늘은 눈의 감기라고도 불리는
눈 다래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
땀샘 또는 분비샘 등의
분비샘에서 발생되는
화농성 염증인 다래끼는
주로 세균 감염 또는
면역력 저하로 인해 발생되기 때문에
전염되는 질환은 아니라고 해요!
다래끼는 발병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치유되기도 하지만
소홀한 관리로 인해
2차 감염이 일어날 수도 있어
올바른 관리법이 필요한데요-
지금부터 다래끼 나는 이유 및
다래끼 빨리 낫는 법 , 초기증상 등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까요?
다래끼 나는 이유 !
앞서 설명했듯이 다래끼 나는 이유 중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포도상구균 감염 및 면역력 저하라고 해요!
평소
생활 패턴이 규칙적이지 않은 경우나
과한 스트레스 및 피로 등으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세균 감염에 취약한 상태가 되어
다래끼가 발병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
포도상구균 감염으로 인한 다래끼는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주로 해당되는데
그 이유로는
청결하지 못한 손으로 눈을 비빌 때
포도상구균이 분비샘에 침투해
감염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메이크업을 하시는 분들의 경우
잘 씻어내지 못해 남겨진 분비물과
장시간 이어진 렌즈 착용으로 인한
이물질 등으로 인해
다래끼가 발병될 수 있다고 해요-
원인에 따른 다래끼 종류
위에 설명드린
다양한 다래끼 나는 이유로 인해
몰샘, 마이봄샘, 짜이스샘 등
분비샘에서 염증이 발생하여
다래끼가 나는 것인데요 ,
이때
염증이 발생한 분비샘에 따라서
다래끼의 종류가 나뉜다고 해요!
먼저
마이봄샘에서 감염이 일어난 경우
눈꺼풀 안쪽에서 통증이 느껴지는
속다래끼가 발생되며 ,
짜이스샘이나 몰샘에서
감염이 일어난 경우는
눈꺼풀 바깥쪽에서 통증이 느껴지는
겉다래끼가 발생된 것이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콩다래끼가 있는데요-
콩다래끼는 마이봄샘에서
만성 육아종성 염증이 발생해 생기는 것으로
딱딱한 몽우리가 만져져
콩다래끼라 불린다고 해요!
다래끼 , 초기증상은 ?
다래끼 초기증상이
궁금하신 분들 많으실 텐데요 ,
✔ 초기증상
- 하얀 염증이 들어있는 몽우리
- 붉게 부어오름
- 눈꺼풀 통증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다래끼 초기증상으로는 위와 같으며
눈 한쪽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
심한 경우는 두 개 이상의 염증이
발생되기도 한다고 해요!
✔ 그 밖의 증상들
- 눈꼬리 부분에 하얀 눈곱 발생.
- 몽우리가 만져지거나 통증은 없으나
눈의 불편함이 느껴짐.
- 눈꺼풀 뻐근함.
- 염증이 커지면서 육안으로도
염증이 보이며 이물감, 통증 발생.
- 결막 부분에서 노란색의 농양이 생김. (속다래끼)
- 통증과 붓기는 없으나 눈꺼풀 가장자리에서
딱딱하고 작은 몽우리가 만져짐.(콩다래끼)
다래끼 , 빨리 낫는 법 !
하루에도 수 천 번씩 깜빡이고
시각적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우리 눈에
다래끼 증상이 나타난다면
하루 종일 신경 쓰이고
일상생활이 매우 불편해지겠죠 😢
다래끼 빨리 낫는 법이 있다고 하여
설명드리려고 해요!
다래끼는 자연치유가 가능하여
올바른 관리만 해준다면
심각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데요 ,
시간이 지나도 나아지지 않고
다래끼가 계속 심해진다면
안과를 방문해 전문의의 진료와 함께
안약 및 항생제로 치료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다래끼 빨리 낫는 법으로
스스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 렌즈 착용하지 않기
✔ 눈 화장 자제하기
✔ 충분한 휴식 및 숙면
✔ 혈액 순환을 위한 온찜질
✔ 환부 주변 청결 유지
✔ 손으로 눈 만지지 않기
지금까지
다래끼 나는 이유, 초기증상,
다래끼 빨리 낫는 법 등
다양한 정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충분히 숙지하셔서
우리 눈 건강 잘 지키시길 바랄게요💛
'오늘의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염에 탁월한 작두콩차 효능 및 부작용 먹는 법까지 ! (0) | 2022.02.15 |
---|---|
당신만 모르고 있었던 놀라운 히비스커스 효능 ! (0) | 2022.02.14 |
푸시업 매일 100개씩 하면 벌어지는 일ㅣ팔굽혀펴기 효과 및 제대로 하는 법 ! (0) | 2022.01.24 |
한랭 두드러기 알레르기 증상 원인 자가진단법 및 예방법까지 (0) | 2022.01.20 |
위암 위험 요소 장상피화생의 모든 것 ㅣ속 메스꺼움 쓰림 더부룩 등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