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꿀팁

신라젠 상장폐지 거래정지 거래재개 , 기업입장 및 향후전망

반응형

안녕하세요! 건알입니다 😊
며칠 전 신라젠의 상장폐지 결정으로
주식 시장이 떠들썩했었는데요 -


많은 투자자들의 예상을 엎고
한국거래소에서는
신라젠 상장폐지
결정했다고 합니다.

앞으로의 신라젠의 전망과
거래정지 사유 , 거래재개 및
기업의 입장문까지
궁금하실 분들을 위해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


신라젠 , 상장폐지까지


한 때 15만원까지 가며
바이오의 신화라고 불렸던
신라젠 주식이 거래정지 ,
상장폐지가 되었다고 해요-

상장폐지되기 까지의
신라젠이 걸어온 길은 어땠는지
알아보도록 할까요?


2017-
- 간암치료제 펙사백의
임상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가가 미친 듯이 급등

( 11월에는 15만 원까지 )


2019년 8월
- 미국에서 임상 3상 권고 중단 결과가
발표되면서 주가는 다시 폭락

( 이 과정에서 신라젠 전 임원들과
문은상 전 신라젠 대표는 결과도 나오기 전 ,
신라젠 주식을 매도하였음 )


2020년 5월
- 문 전 대표 배임 협의와 횡령으로 인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정지

2020년 6월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으로 결정

( 당시 배임 및 횡령 금액은
자기 자본 대비 344.20%로 어마어마한 금액 )


2020년 8월
- 기업심사위원회 개최 ,
11월에 속개 결정

2020년 11월
- 개선기간 1년 부여

2022.1.18
- 기업심사위원회 개최 ,
신라젠 상장폐지 결정


상장폐지란 ?

상장폐지에 대해
궁금하실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설명해드릴게요-

예를 들자면 ,
대형 쇼핑몰에 입점되어 있는
A브랜드가 입점 기준을 지키지 못해
쫓겨나는 경우와 같은 것인데요!

쫓겨났다고 해서
A라는 브랜드 자체가 사라지지는 않죠?
물론 브랜드 가치 훼손과
고객님들이 신뢰는 잃는 등의
큰 타격을 입겠지만

자체 시장에서는
거래가 가능한 것처럼
상장폐지의 개념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상장폐지 이유

상장폐지가 되는 사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영업정지 및 부도 발생 ,
사업보고서 미제출 , 주식분산 미달 ,
자본잠식 또는
감사인 의견거절 3년 이상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입힐 위험이 있는 경우 또는
증시 질서를 문란하게 하는 경우
상장이 폐지된다고 합니다.


상장폐지 절차

✔ 거래소에서 심사 후
상장폐지의 기준과 사실에 대하여
통보 , 공시한다.

✔ 기업 이의신청

✔ 상장위원회 심의

✔ 개선기간 부여 또는 상장폐지 결정


상장폐지 결과

상장폐지 위기에 처하게 되면
해당 기업은 거래정지로 인해
주주들의 자본금이 묶인다고 해요!

정리매매를 할 수 있는
7일간의 거래 기한이 주어지는데요 ,
이 때는 상한가 및 하한가가 없으며
30분마다 단일가 매매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의 주가는
곤두박질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거래재개를 요구하는 주주들의 시위가
열리기도 한다고 해요-


신라젠 상장폐지 , 원인은 ?

이행내역서 미이행

2020년 11월 ,
기업심사위원회에서
신라젠에게 1년의 개선기간을
부여했는데요 -

이때는 제출한 이행계획서가
얼마나 잘 이루어지는지
지켜보는 기간이라고 합니다.

엠투엔을 새로운 최대주주로 맞은 후
1000억 원의 유상증자를 조달한 바는 있지만

신약개발제품이 줄어들어
앞으로 기업 가치의 유지 및
임상 성공의 확률이
매우 낮을 것으로 판단하여
상장폐지가 결정되었다고 합니다.


재무구조의 악화

가장 큰 원인은
재무구조의 악화인데요,

재무 정보상을 통해 보면
2018년부터 영업이익 적자가
지속적으로 기록되었으며 ,

점점 더 매출액에 비해
상당히 많은 금액이
이익 적자로 기록되면서
재무구조의 사정이
매우 좋지 않았다고 합니다.


기업의 입장은 ?

22년 1월 18일에
입장문을 발표했다고 합니다.

대략적으로 말씀드리자면 ,
코스닥시장위원회에
적극적으로 소명하겠으며
주요 임상들은 그대로 진행 중이고
앞으로의 경영활동 및 연구개발도
정상 운영되고 있다는 내용인데요-

신라젠은 현재
이의신청을 해놓은 상태로
거래재개가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는 중이겠죠 ?


신라젠 , 거래재개 가능할까 ?

신라젠의 거래재개를
바라시는 분들도 많으시겠지만 ,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질지는
의문이라고 해요-

이미 1년 이상의 개선기간이
부여된 적도 있으며
이미 상장폐지 결정이 된 상태로
번복되기는 힘들 것이라는
의견도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

코스닥시장위원회에서도
상장폐지가 확정이 된다면
앞서 설명했듯이
7일간의 주식정리매매기간을 통해
주주들에게 마지막 매도기회가
주어진다고 합니다.

그러나
폐지가 결정되기 직전의
주가 대비 10%의 수준으로
거래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폐지된 주식을 갖고 있으면
큰 손실의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신라젠의 상장폐지와
관련하여 알아보았는데요 -
이러한 사례를 보면
국내 주식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사기죄 ,
경제사범에 대한 처벌이
더욱 강력해졌으면 좋겠다
생각이 드네요.


728x90
반응형
LIST